김인창, 관음보살의 도상 연구 : 정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암문화원 댓글 0건 조회 1,734회 작성일 22-03-22 14:10

본문

YCC | 2019.03.23

김인창 <관음보살의 도상 연구 : 정병>을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 주요 내용 -

대세지보살과 정병

관음보살과 정병

미륵보살과 정병

정병과 관음보살상의 관계

인도 중국 한국 일본의 예시


초록 :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관음보살상은 天衣에 보살장식을 특징으로 하며, 머리에 쓴 寶冠에는 아미타 化佛이 표현되어 있고, 손에는 연꽃이나 淨甁을 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상 특징은 관음보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보살과 공유함으로 인해 불교도상학 의 지속적 담론을 필요로 한다. 보살상의 化佛은 미륵과 공유하며, 淨甁은 미륵보살과 대세지보 살의 지물로도 해석되고 있다. 이로 인해 특정 보살에 대한 도상 특징을 정립하는 학문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觀音菩薩(Avalokiteśvara)의 중요한 지물로 인식되는 정병에 대한 미술사적 보편 성과 특수성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정병의 보편적 도상은 대세지보살, 관음보살, 미륵보살상 에 공유되었으며 특정 보살에 항구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 보살과 관련된 정병의 보편적 활용가치에 대한 기존의 미술사적 해석은 특정 보살에 대한 정병의 도상적 가치를 부여 하지 못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음보살과 관련된 정병의 특수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 다. 본 논문에서는 관음보살의 정병에 대해 ①  ‘연꽃이 꽂혀있는 병[甁口出蓮花]’으로써의 정병 과 ② 여러 개의 팔을 지닌 多臂形 관음보살상의 정병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하였다.  초기 불교미술에서 정병은 미륵의 도상으로 의의를 지니며, 관음보살은 蓮花를 중요한 지물 로 취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륵의 정병은 龍華로 대치되고, 관음보살의 지물로 정병이 등장하기도 한다. 정병을 취한 관음보살상은 5세기 말엽의 아잔타 석굴에서 최초로 발견된다. 이들 관음보살상은 정병과 함께 전통적인 지물이었던 연꽃을 함께 취한 독특한 형태를 보임으로 써 정병만을 지닌 미륵보살상과 구별된다. 관음보살의 전통적인 지물인 연꽃과 미륵의 지물이 었던 정병이 결합된 도상은 문헌을 통해 ‘연꽃이 꽂혀있는 병[甁口出蓮花]’임이 확인되며, 특히 십일면관음보살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北周의 耶舍崛多가 번역한 佛說十一面觀音神呪經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연꽃이 꽂혀있는 정병[甁口出蓮花]’을 든 십일면관음보살 도상은 늦어도 570년경에는 중국에 소개되었으며 중국 의 唐, 한국의 통일신라, 일본의 天平 시대에 본격적으로 유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꽃이 꽂혀있는 정병[甁口出蓮花]’은 관음보살의 도상에 한정된 특수형식으로 이해되며, 여러 보살들이 취하고 있는 정병과는 구별되는 특성을 지닌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